지난해 자살자 1만4872명… 13년 만에 최대치 기록
40대 자살률 급증… 경제적 문제 중심 자살 동기 추정
자살이 처음으로 40대 사망 원인 1위에 올랐다. 1983년 사망원인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이다. 10~30대에서 가장 높은 사망 원인이던 자살이 경제활동의 중심층인 40대까지 확산됐다. 지난해 전체 자살자 수는 1만4872명으로, 2011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0월 25일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3년 자살로 인한 사망자는 전년보다 6.4% 증가했다.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9.1명으로, 2년 연속 상승하며 2011년(31.7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41.8명으로 여성(16.6명)의 2.5배에 달했다.
자살은 10대부터 40대까지 전 연령층에서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했다. 특히 40대의 경우, 그동안 1위였던 암을 자살이 처음으로 앞질렀다. 지난해 40대 사망자 가운데 자살 비중은 26.0%로 암(24.5%)보다 높았다.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여전히 암이 주요 사망 원인으로 나타났다.
자살 동기는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40대의 경우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40대 사망 원인에서 자살이 처음으로 1위를 기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주요 분석 대상 중 하나”라고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연령표준화 자살률에서도 한국은 26.2명으로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10.8명)의 2.4배 수준이다.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각국의 인구 구조 차이를 반영하지 않도록 보정한 국제 비교 지표다.
보건복지부는 자살률 증가 배경에 대해 “중장년층이 겪는 실직, 정년, 채무, 이혼 등 생애 전환기의 복합적 문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유명인 자살에 대한 자극적 보도, 지역 정신건강 인프라 부족도 원인으로 지적된다”고 분석했다.
